·지자체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사업 초기단계에서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실태를 점검할
수 있는 성과관리체계를 제시
·건축·도시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은 증거기반정책뿐만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빌딩 등에 대한 요소 기술이기
때문에 관련 분야의 지속적 연구와 정책적 지원 필요
·지역건축기본계획의 범위 및 내용, 성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실효성 측면에서의 문제점과 원인을 도출하고,
계획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 및 정책대안을 제안
·국가시범도시, 스마트 챌린지 사업,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 등 정부 스마트도시 정책에 공원,
가로, 건축물 등 도시공간 기반의 사업 유형 추가
·그린뉴딜을 통한 도시 기후변화 정책 개선방안
·자연재해·재난 대응을 위한 탄력적 도시설계 연구
·제로에너지건축물 조성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연구
·신 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건축물의 기후변화 취약성 진단
·지자체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사업 초기단계에서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실태를 점검할
수 있는 성과관리체계를 제시
·저탄소 에너지절약형 공동주택 디자인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
·스마트도시서비스 현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스마트도시서비스를 지속가능하게 관리‧운영하기 위한
전략과 제도적 지원방안을 제안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구축사업 성과관리체계
구축 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기반으로
회복탄력성, 사회적 혁신, 선진국의 선도적인 건축정책과
도시정책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대안모색
·녹색건축 정책수립을 위한 건축물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구축 및 분석